해상왕 장보고

 

대사천장원년도일본국, 회시부선각귀당국

大使天長元年到日本國, 廻時付船却歸唐國

장대사는 천장 원년(824년)에 일본국에 도착했다. 돌아갈 때 함께 배를 탔다가 당으로 와버렸다.

 

여기에서 관심을 가질 내용은 각귀당국却歸唐國이라는 표현이다. 각却자는 ‘그러나’ 또는 ‘당초의 의도와는 반대로’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글자다. 문장 후반부를 직역해서 번역하면 ‘돌아가는 배에 올랐으나 당나라로 왔다’가 된다. 의역하면 ‘돌아가는 배에 올랐으나 당초의 의도한 신라로 돌아가지 못하고 당나라로 와버렸다’가 된다. 장대사의 목적지가 당나라가 아니라 다른 곳이었는데, 당나라로 돌아왔다면 장대사가 갈 곳은 자연스럽게 신라가 될 수밖에 없다. 왜 장보고는 신라로 가지 못하고 당나라로 왔을까. 자신이 계획했던 것과 맞지 않아서 항로를 변경했을 것이다. 추측컨대 장보고가 신라조정에 알려진 인물이고, 영향력이 있음을 인정받았다고 해도 확실한 신분과 성향을 알지 못하는 장보고에게 엄청난 파괴력을 가진 1만 명이라는 군사를 내어주는 일은 모험이었을 것이다. 실제로는 군사 1·만 명을 내어주었고 보기에는 한계가 있다. 군사 운영권을 인정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다음에 다시 논의 하기로 한다. 당연히 신분사회인 신라에서는 반대도 있었을 것이다. 대사라는 직함은 앞서 언급했듯이 당나라와 신라의 협력관계를 상징하는 직함이다. 신라왕의 직함과 별 다르지 않은 엄청난 파괴력을 가진 상황을 받아들여야 하는 결정을 해야 한다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을 것이다.

장보고가 신라로 돌아오기 전에 이미 무역에 손을 댔거나, 일본과의 관계에서도 상당한 영향력이 있었음을 알려주는 단서가 있다. 엔닌이 장보고에게 보내는 편지에 일본의 공전국태수가 장보고에게 보내는 편지에 편지한 통을 가져오다가 해난으로 잃어버린 사실을 적고 있다. 공전국태수라면 장보고의 무역선이 이용하는 서일본을 관할하는 관직이다. 당연히 장보고와 업무상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편지의 내용은 일본의 공전국 태수가 장보고에게 엔닌의 여행편의제공을 부탁하는 편지다. 개인적인 부탁을 할 정도라면 장보고가 일본을 방문했을 때 만나 친분을 쌓은 관계라고 할 수 있다. 일본의 관리인 공전국 태수가 장보고를 만나러 갔다기 보다는 장보고가 교역차 일본을 방문해 만남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장보고가 청해진을 설진하기 전에 이루어진 몇 가지 정황을 종합해 보면 장보고는 이미 황해를 중심으로 한 삼국간의 교역을 담당하고 있었음을 볼 수 있다. 이런 교역을 통해서 신라조정 내에서 당나라에 기반을 둔 장보고에 대한 호의적인 이야기들이 전해졌을 것이다. 당나라를 방문하는 관리들이나 유학생 그리고 유학승들이 편의를 제공받고는 믿음이 커졌을 것이다. 자연스럽게 신라조정 내에서도 장보고에 대한 논의가 되었고, 신라왕에게도 전해졌을 것이다. 이런 와중에 신라와 당 사이에 놓여있는 역학관계에 의한 정치적인 결정이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앞서 말한 발해를 견제하기 위한 방안과 부수적으로 해적을 소탕하는 일이 맞물려 이를 해결할 방안이 논의 되던 중에 장보고가 그 대상으로 지목되었을 것이다.

- 연재 소설입니다.  다음 편을 기대해주세요.-

저작권자 © HKBC환경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