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의 종가음식이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는 날이 다가오고 있다.

경북도가 종가음식조리서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에 적극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도는 5일 경북대 본관 제2회의실에서 ‘종가음식조리서 세계기록유산 추진 학술용역’최종보고회를 열었다.

지난해 6월부터 진행된 이번 용역은 지역의 종가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있는 음식조리서 중 음식디미방, 수운잡방, 온주법, 시의전서 등을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한 연구 용역이다.

이날 보고회에서 안동대 배영동 교수는 “종가음식은 문중단위로 조상제사가 다양하게 이뤄져 제례에 쓰이는 음식과 술에 대한 요구로 발달됐다”면서 “이후 조리서의 등장은 조선후기 접빈객봉제사의 가치가 증대하면서 발달했다”고 말했다.

호서대 정혜경 교수는 종가음식조리서가 현대 식문화 및 조리법에 미친 영향 보고에서 “한식은 온 우주를 담고 있는 음식으로, 음식에 여러가지 색과 다양한 식품재료, 형형색색의 고명, 온갖 종류의 갖은 양념 등을 다 담아내고 있기 때문이다”이라고 강조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주영하 교수는 “종가 음식조리서는 세계에서 유교 문화(예법)와 관련된 유일한 조리서”라면서 “대부분이 주부에 의해 한글로 집필된 것이어서 국외의 음식조리서와는 확연히 구분된다”고 지적했다.

경북대 남권희 교수는 세계기록유산 등재의 선행 사례 검토, 국내외 학술회의 개최, 종가음식조리서 아카이브 구축 등의 방안을 제시했다.

용역책임연구원인 경북대 백두현 교수는 세계기록유산으로 신청하기 위한 기록물의 명칭을 ‘한국의 종가음식조리서 음식디미방과 수운잡방’으로 제시했다.

경상북도에서는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올해 문화재청의 세계기록유산 등재 대상 기록물 공모에 신청할 계획이다.

이두환 도 문화관광체육국장은 “지역에 산재한 소중한 기록유산들을 발굴하고 보존관리 함은 물론, 우수한 문화유산을 세계적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기 위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하는 작업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음식디미방’은 경북 영양 석보 두들마을에서 살았던 재령이씨 종가에서 나온 것으로, 장계향(1598~1680)이 지은 한글본 음식조리서다. 저술자와 저술 연대 및 출처가 확실한 한글조리서로 가장 오래된 것이면서 가장 풍부한 내용의 음식조리법을 담고 있다.

‘수운잡방’은 경북 안동 오천 군자리에 살았던 광산김씨 종가에서 나온 것으로, 김유(1491~1555)와 그의 손자 김령(金玲1577~1641)이 공동 저술한 한문본 음식조리서이다. 저술자, 저술 연대 및 출처가 확실한 문헌으로 가장 오래된 것이며, 다양한 음식조리법이 기록돼 있다.

저작권자 © HKBC환경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