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암마을은 물과 돌의 마을이다. 물은 생명이고 돌은 정착을 상징한다

마을 중요 민속자료 제 236호로 지정되어 있는 충남 아산 외암 민속마을은 약 500년 전부터 부락이 형성되어 충청 고유격식인 반가의 고택과 초가돌담이 총 5.3km에 달한다. 예안이씨의 집성촌이다. 원래 외암마을의 주인은 평택진씨였다. 지금도 참봉 진한평의 묘가 외암 마을 남쪽으로 약 500m의 거리인 구릉의 골말에 위치하고 있어, 과거 이 마을의 주인이었음을 알려주고 있다. 또한 묘소의 남쪽에 집터와 연못의 흔적이 남아있는데, 이곳이 진참봉의 집터가 아닐까 생각된다. 오늘날 외암마을에 거주하는 주민의 절반이 예안이씨다. 시작은 평택진씨 참봉 진한평의 사위인 이사종이다. 당시 진한평에게는 아들이 없고 딸만 셋 있었는데, 예안이씨 이사종이 진한평의 장녀와 혼인하면서 마을에 들어와 살게 되었다. 예안이씨 외암 입향은 외암 이간 선생이 쓴 『외암기』에 "예안이씨가 온양에 들어와 살게 된지 이미 5세가 되었다" 고 하였는데, 조선 명종 때 장사랑을 지낸 이연은 6대조이고, 이사종은 5대조가 된다. 그렇다면 이사종 때부터 이곳에 살았던 것이 분명하다.

외암마을을 기와와 초가가 만남은 양반과 상인의 만남이 공존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사대부의 기와지붕과 일반 상인이나 노비의 집은 초가다. 그들의 갈등과 협력이 시대상이었지만 풍경으로 만나는 조화로움은 또 하나의 아름다운 풍경을 만들어내고 있다. 외암리마을은 정원이 보존되어 있으며 다량의 민구와 민속품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가옥 주인의 관직명이나 출신지명을 따서 참판댁, 병사댁, 감찰댁, 참봉댁, 종손댁, 송화댁, 영암댁, 신창댁 등의 택호가 정해져 있으며, 마을 뒷산 설화산 계곡에서 흘러내리는 시냇물을 끌어들여 연못의 정원수나 방화수로 이용하고 있다.

외암리마을은 물과 돌의 마을이다. 물을 돌담에 만들어 놓은 물문으로 집으로 끌어들여 지형에 의한 낙차를 이용하여 흘러가도록 했다. 외암마을에서 물은 생명이고 돌은 정착을 상징하는 듯하다. 집에 두른 돌담은 그 무게만큼이나 삶을 진중하게 정주하게 한다. 물과 돌의 만남은 흐름과 정착, 이동과 정주라는 엇갈리는 이중주 같지만 상생의 화합처럼 보인다.

이끼 낀 긴 돌담을 돌면 이 마을의 역사를 짐작할 수 있다. 돌담만으로 이루어진 마을이다. 흙이나 회를 섞지 않고 순수하게 돌만으로 쌓은 돌담이 주는 정감이 남다르다. 돌담이 두터우나 높이는 어깨선을 넘는 것이 드물어 안과 밖이 오순도순 정담이라도 나누는 듯하다. 돌담 너머의 생활이 다 들여다보인다. 가족 같은 마을의 인심이 아니라면 담으로서의 역할인 배타의 이기심은 한층 약화된다. 돌담 너머로 집집마다 뜰 안에 심어놓은 감나무, 살구나무, 밤나무, 은행나무 등이 다채롭다.

전체 가구수가 60여 호인 외암리 민속마을에는 마을 입구의 장승을 비롯하여 조선시대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디딜방아, 연자방아, 초가지붕 등이 보존되어 있다. 주민들이 살고 있는 집들은 대부분 초가집이고 그 외 기와집은 10여 채가 되는데 대개 100년에서 200년씩 되는 집들이다. 그 때문에 1988년 정부에서 전통 건조물 보존지구로 전국에서 두 번째로 지정되었다가 2000년 1월 국가지정문화재 중요민속자료 제236호로 지정 보존 중이다. 외암리 민속마을 내 고택은 사유지로 본래 출입이 불가하지만 집 주인의 양혜를 얻어 관람할 수도 있다.

설화산의 서쪽에는 충청도 양반 마을을 대표할 만한 마을이 외암리 민속마을이다. 본래 이웃역말 시흥역이 있어서 말을 먹이던 곳이라 하여 오양골이라 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농가의 창고나 헛간 등지에 설치하는 말과 소를 사육하는 장소이다. 이는 농촌에서 말과 소가 중요한 가산이므로 가까운 곳에 두어 건강상태 등을 돌볼 수 있도록 관리하는데 충청도 지방에서는 오양간이라고 하기도 하고 외양간이라고도 한다. 외암마을은 여기에서 시작되었다.

동구에 바람막이 기능도 겸하는 마을 숲은 큰비가 내리면 강당골과 설라리에서 흘러내려 온 두 개울물이 합하여 넘실댄다.

지금은 자동차가 지나다닐 수 있는 시멘트로 된 다리가 번듯하게 놓여 있지만 오래 전의 다리를 재현해 놓았다. 돌다리 징검다리 섶다리가 개울을 가로질러 놓여있다. 섶이란 작은 나뭇가지를 지칭하는 말이다. 곧, 섶다리는 나무로 만든 다리다. 섶다리는 매년 하천에 물기가 거의 없는 10월 이후에 만들어져 그 다음 해에 여름 장마철에 불어난 물에 떠내려가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매년 우리네 선조들이 동네사람들과 함께 만들어야만 하는 일종의 공동체 작업이다. 마을의 연대의식과 공동체를 확인하는 연중행사이기도 하다. 섶다리는 마을의 결속력을 강화하는 기능도 수행했다.

외암리마을은 연엽주의 고향이기도 하다. 고종이 즐기던 민속주로도 알려져 있다. 무형문화재 제 11호로 지정되어 있는 연엽주는 외암리 마을의 대표적인 민속주로 이 마을 예안 이씨 참판댁에서 5대째 술을 빚고 있다. 현재는 이득선 씨 집에서 5대째 기법을 전수받아 빚어오고 있다. 당시에는 제사가 끝나고 음복을 할 때 참례자들이 차례를 드리는 정성으로 연엽주를 마셨다고 한다. 대대로 예안 이씨 집안의 제삿술로 전해 내려오는 연엽주는 연근, 찹쌀, 솔잎, 감초, 누룩 등을 사용해서 만드는데 그윽한 향기와 새콤한 맛이 일품이어서 명절무렵에는 물량이 달릴 정도로 인기가 높다. 쉽게 취하지도 않을 뿐더러 뒤끝이 깨끗해서 몸에도 좋은 연엽주는 특히 뇌를 맑게 해주며 혈관을 넓혀주는 효험 이 있다. 외암리 민속마을은 한국의 토착적인 면을 간직하고 있는 보물단지다.

저작권자 © HKBC환경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