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형폐가전 문전 무료수거 장면

환경은 살리고, 불편을 줄이는 대형폐가전 무상 수거 서비스가 시행 3돌을 맞았다.

서울시에서 가정이나 사업장 등에서 버리고자 하는 TV, 세탁기, 에어컨, 냉장고 및 냉온정수기 등 가로·세로·높이 중 하나라도 1m 이상이 되는 대형 가전제품이라면 모두 무상 수거 대상이다.

시는 ’12년 6월 6개 자치구에서 시범사업을 했고, 시민들의 폭발적인 호응에 힘입어 ’12년 9월부터는 서울시내 25개 자치구로 확대, ‘13년 1월부터는 전국으로 확대했다.

* 서울(’12.6) → 부산·대구·광주·대전·경기(’13) → 울산(’14.2) → 경남·충남·전남·세종·제주(’14.4) → 경북·충북·전북·강원(’14.7) → 인천(’14.9)

정책 도입 이전에는 대형폐가전을 버리려면 5,000월~12,000원의 수수료를 내고, 지정된 장소까지 직접 운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지금은 대형폐가전 무상방문수거서비스는 인터넷(www.15990903.or.kr), 카카오톡(ID : 폐가전무상방문수거 또는 weec) 또는 콜센터(1599-0903)로 예약하면 원하는 날짜에 맞춰 방문해 무상으로 수거해가는 것은 물론 시민 편의를 위해 토·공휴일에도 콜센터(08시~12시)를 운영하고, 수거(08:00~18:00)를 실시한다.

무상방문수거 서비스는 시행 첫 해인 ’12년 3만 3천여 대, ’13년 7만 6천여 대, ’14년 7만 2천여 대 등 현재까지 총 18만여 대의 대형폐가전이 무상으로 수거되었다.

사업에 참여한 시민 만족도 조사 결과 99.7%가 만족한다고 응답했고, 그 이유로는 ▲무료 배출 ▲방문수거의 편리성 ▲자원의 친환경적 재활용 등을 꼽았고, 불만족한 이유로는 ▲예약전화 폭주 시 접수 및 수거 지연을 꼽았다.

이렇듯 본 서비스는 시민들의 경제적 부담 완화, 배출의 편리성을 도모하는 것 외에도 환경보전 측면에서도 큰 효과가 있다.

수거된 냉장고의 원형보존율이 20% 정도였으나, 대형폐가전 무상수거 서비스 도입 이후 3돌을 맞는 지금은 95%까지 원형보존율이 높아졌고, 냉각기 훼손 시 발생하는 냉매로 인한 환경오염도 대폭 줄었다.

시는 지금까지 ‘무상방문수거서비스’로 ▴18만여 대의 배출수수료(대당 5,000원~12,000원) 약 22억원 경감 ▴불법적인 처리 사전 차단으로 인한 온실가스 약 1만톤 감축 ▴철, 구리 등의 천연자원 수입대체 등 약 80억원 절감 등의 효과를 거두었다.

현재 많은 시민들이 참여하고 만족하고 있으나, 사업을 알지 못하는 시민 대상 환경부·공제조합, 25개 자치구와 전방위 홍보를 통해 서비스 사각지대를 제거하고 8만대를 수거한다는 목표다.

또한, 서비스 이용 시민의 건의사항이었던 서비스 지연 문제에 대해서도 전담(공제조합) 콜센터 운영을 개선하는 등 시민불편을 제로화한다는 계획이다.

▲ 대형폐가전 재활용 처리 체계

아울러 올해부터는 재활용 활성화 사업을 시범으로 추진한다. 지난 3년간, 회수된 가전제품은 공제조합 산하 리사이클링센터(RC)로 보내져 파쇄·분쇄 후 철·구리·플라스틱 등 구성품을 재활용하고 있으나, 회수된 제품 중 일부는 간단한 수리·수선을 받으면 재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양호한 폐가전이 많았다.

이런 경우 제조일로부터 5년 이내 제품을 선별, 인근 재활용센터와 연계해 차상위계층에게 무상으로 제공하고, 재활용센터에 매각한 수익금은 공제조합이 적립하여 취약계층에게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이인근 서울시 자원순환과장은 “대형폐가전 무상방문수거 사업은 시민의 금전적, 공간적, 시간적 편의를 높이고, 환경오염까지 방할 수 있는 일석다조의 사업”이라며, “무상수거는 물론 차상위계층에 무상으로 중고 폐가전제품을 지원하는 등 선순환 지원시스템을 구축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HKBC환경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